개혁주의 전 천년설 97

본경 : 장차될 일(1) | 개혁주의 전 천년설 | 계시록 장별 연구(4) | 이재현목사 | 파루시아 아카데미 | 개혁주의 전 천년설(41)

ⅲ 본경 : 장차 될 일(1) 일곱 인・일곱 나팔・세 화・일곱 대접 ​ 요한계시록 6장 이후는 다니엘서 9장 27절 ‘한 이레’(7년)와 연결 철저히 재림(종말) 전후에 이루어질 사건으로 해석한다.1) 계시록의 세 골격 ‘네가 본 것’, ‘지금 있는 일’, ‘장차 될 일’가운데 ‘장차 될 일’에 속한다(1:19). ‘장차 될 일’은 6-22장이다. ‘장차 될 일’ 두 구조인 본경과 삽경으로 되어 있다. 이 둘을 구분하지 못해 해석하는데 큰 혼선을 빚기도 한다. 본 계시인 7인, 7나팔, 세화, 7대접이 기록된 장은 본경(6,8,9,16,19,20,21,22장). 그 외는 삽입 계시인 삽경이다(7,10,11,12,13,14,15,17,18,19장). 19장이 두 곳에 포함된 것은 천년왕국의 혼인 잔치에 관..

지금 있는 일 | 개혁주의 전 천년설 | 계시록 장별 연구(3) | 이재현목사 | 파루시아 아카데미 | 개혁주의 전 천년설(40)

ⅱ 지금 있는 일 ​ 소아시아Asia Minor 일곱교회는 현재 교회의 형태를 알게 하는 중요한 계시이다(2-3장). 종말에 재림하실 예수그리스도를 맞이할 합당한 교회인지, 적그리스도의 지배하에 놓이게 될 것인지를 가늠할 수 있는 예기豫期이기도 하다. 그런 면에서 일곱교회는 더욱 지켜야할 신앙적 자산과 배격해야할 요소들은 무엇인지를 깨닫게 해준다. ​ 일곱교회는 전 세계 교회 전 시대에 주시는 말씀이다. 이 계시의 대상이 당시에는 사도 요한으로부터 서신을 받은 소아시아 지역의 일곱교회이다. 실제 그때 교회들에 주신 견책, 칭찬, 권고이다. 그러나 이 편지가 성경으로 편찬되면서, 일곱교회의 범위는 전 세계적인 교회로 확대되었다. 어느 시대에 존재하는 교회이건 일곱교회에 해당되지 않는 교회는 없다. 일곱교회..

네가 본 것 | 개혁주의 전 천년설 | 계시록 장별 연구(2) | 이재현목사 | 파루시아 아카데미 | 개혁주의 전 천년설(39)

ⅰ 네가 본 것 ​ 요한계시록을 연구하는 방법 가운데 종합적 접근이 선행돼야 한다. 창공에서 보는 지상의 풍경에 비유할 수 있다. 그러면 삼대 산맥을 알 수 있다. ‘네가 본 것’, ‘지금 있는 일’, ‘장차 될 일’이다(1:19).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는 이 세 골격을 바로 파악해야 한다.1) 그 다음에 분석적 접근을 기해야 한다. 한 곳 한 곳을 깊이 파내려가는 작업을 뜻한다. 그런데 계시록을 연구하는데 이 기초적인 부분조차도 파악하지 못해 중구난방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네 본 것’에 관해서는 상대적으로 1-3장이라고 보는 견해가 많다. “네가 본 것은 내 오른손의 일곱 별의 비밀과 또 일곱 금 촛대라 일곱 별은 일곱 교회의 사자요 일곱 촛대는 일곱 교회니라”는 구절을 그 근거로 든다(1:..

일러두기 | 개혁주의 전 천년설 | 계시록 장별 연구(1) | 이재현목사 | 파루시아 아카데미 | 개혁주의 전 천년설(38)

일러두기 ​ 개혁주의 전 천년설에 입각한 요한계시록 개관은 요한계시록 강해 1)를 텍스트로 한 인도자용 교재이다. 교회 리더들은 강해서를 필독한 후 소그룹에서 나눔이 바람직하다. 제자용 교재는 개 교회에 맞게 편집할 수 있도록 파루시아 글로벌 미니스트리 센터 사이트에 올려놓았다.2) 한국교회에서 계시록 증거 빈도는 너무나도 미비하다. 이러한 형편을 감안 매우 세세한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다형 문제 중 “맞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에 답이 없는 경우가 있다. 모든 문항이 맞기 때문이다. 이것은 종말론 기초가 많지 않은 성도들이 구독을 통한 학습을 목적으로 했기 때문이다. 정답과 설명은 가나다체로 구별했다. 문제 보기 번호 중 가나다체 표시가 없는 것은 모두 정답이다. ​ 저서 3) 4) 5)과..

천년왕국(3) | 개혁주의 전 천년설 핵심주제(10-3) | 이재현목사 | 파루시아 아카데미 | 개혁주의 전 천년설(37)

천년왕국(3) ​ 5. 천년왕국의 계층과 삶 그리고 종국 ​ 천년왕국의 백성에 관해서 ‘부활한 몸이 천년왕국에서 자손을 번성한다’, ‘유대인들이 육체를 가진 백성이고 이방인들은 부활체인 왕으로 살게 된다’는 주장은 합당하지 않다. 성경적일 수 없다. 예수 재림시 죽은 모든 성도들이 전부 부활되는 것이 아니다. 살아 있는 성도들이 신령한 몸으로 변화되는 것도 아니다. 적어도 역사적 전 천년설을 주장하려면 그렇다는 것이다. 부활체가 천년왕국에서 살아야 할 이유도 전혀 없으며 변화체가 천년왕국을 거쳐서 천국에 들어가야 할 이유도 전혀 없는 것이다. 살아 있는 성도들이 변화 받지 않고 그냥 이대로의 육체를 가져야한다. 그래야 천년왕국에서 생활하는 의의가 있다. 천 년 동안 새 땅에서 죽지 않고 살 수 있는 사모..

천년왕국(1) | 개혁주의 전 천년설 핵심주제(10-1) | 이재현목사 | 파루시아 아카데미 | 개혁주의 전 천년설(35)

천년왕국(1) ​ Ⅰ 서론 ​ 천년왕국The Millennium에 대해 영적으로 초림과 재림 사이라고 보면 무 천년설A-millenarianism이 되고, 복음의 증대를 통한 평화를 견지하면 후 천년설The Post millennial View이 되며, 재림 후 도래할 실제적 관점을 가지면 전 천년설The Pre-millennial View이 된다. 이 가운데 전 천년설은 역사적 전 천년설Historic Pre-millenarianism과 세대주의 전 천년설Dispensational Pre-millenarianism로 나눈다. 이렇게 천년왕국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종말계시 전체가 좌우된다(저자는 역사적 전 천년설을 더 세부적으로 세대주의 전 천년설, 상징적 전 천년설Symbolic Pre-mille..

계시록에 나타난 3대 전쟁:유브라데・아마겟돈・곡과마곡(3) | 개혁주의 전 천년설 핵심주제(9-3) | 이재현목사 | 파루시아 아카데미 | 개혁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3대 전쟁:유브라데・아마겟돈・곡과마곡(3) 3. 제3차세계대전의 발발 원인과 세력 (1) 발발 원인 제3차세계대전 발발 원인은 다각도로 살펴볼 수 있는데 그 중 제3성전 문제를 가장 유력하게 본다. 다니엘 9장 26-27절에 ‘한 왕’(적그리스도)이 ‘한 이레 동안의 언약을 굳게 맺’게 되는데 ‘이레의 절반에 제사와 예물을 금지’하게 된다. 이것은 어떤 형태로든 제3성전이 7년 환난 이전에 건축될 것을 밝히고 있다. ‘제사와 예물’은 성전에서 행해지는 일이기 때문이다. 데살로니가후서 2장 3-4절에 ‘불법의 사람’(적그리스도)이 ‘그 위에 자기를 높이고 하나님의 성전에 앉아 자기를 하나님이라고 내세우느니라’는 말씀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적그리스도의 주도하에 체결되었던 7년 평화조약..

계시록에 나타난 3대 전쟁:유브라데・아마겟돈・곡과마곡(2) | 개혁주의 전 천년설 핵심주제(9-2) | 이재현목사 | 파루시아 아카데미 | 개혁주의 전 천년설(33)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3대 전쟁:유브라데・아마겟돈・곡과마곡(2) ​ ​ 2. 핵무기의 세 재앙과 파괴력 ​ 핵폭발은 크게 세 가지 효과를 나타낸다. ‘열선’熱線, ‘폭풍’, ‘방사선’이다. 이것은 종래의 고성능폭약을 사용하는 재래형의 전쟁과는 그 양상을 달리한다. 성경은 이에 대해 ‘불과 연기와 유황의 세 재앙’이라고 묘사하고 있다(계9:18). ​ 핵전쟁은 그 피해 범위가 광대한 지역에 미치며, 핵무기의 사용 규모에 따라서는 단지 1국의 괴멸뿐만이 아닌 전 세계의 파괴까지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또 핵폭발에 의하여 생성되는 방사성 물질은 지표로 강하하여 광대한 지역을 오염시키고, 게다가 잔류효과殘留效果로서 장기간에 걸쳐 인류에게 방사성 상해를 주게 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 성경은 인류의 ‘삼분의 ..

계시록에 나타난 3대 전쟁:유브라데・아마겟돈・곡과마곡(1) | 개혁주의 전 천년설 핵심주제(9-1) | 이재현목사 | 파루시아 아카데미 | 개혁주의 전 천년설(32)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3대 전쟁:유브라데・아마겟돈・곡과마곡(1) ​ Ⅰ 서론 ​ 인류역사는 전쟁사이다. 제2차세계대전 시칠리아와 노르망디 상륙작전에서 영국군 총사령관으로서 활약한 원수元帥 몽고메리Bernard Law Montgomery,1887-1976는 “인간사는 전쟁으로 점철되었다”라고 했다.1) 이 말은 부단 한 개인의 철학과 지론이 아니다. 모든 이들이 긍정하는 것이다. 그만큼 사람들이 모인 곳에는 규모의 차이일 뿐 전쟁과 함께 했다. ​ 이러한 증거는 성경의 기록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인류시조 아담이 에덴동산에서 추방된 뒤 낳은 맏아들 가인은 살인을 범했다. 개인 간의 전쟁이다. 그는 에덴 동쪽 놋 땅에 거주하면서 성을 쌓고 이름을 아들 에녹을 따서 명명할 만큼 번성했다. 그의 후손 라멕은..

예비처와 휴거(3) | 개혁주의 전 천년설 핵심주제(8-3) | 이재현목사 | 파루시아 아카데미 | 개혁주의 전 천년설(31)

예비처와 휴거(3) ​ ​ Ⅱ-ⅱ. 휴거 ​ 1. 비성경적 휴거론 ​ 어느 순간 예기치 못한 때에 예수님이 재림하시고 성도들이 들림 받는다는 것을 비밀휴거Secret Rapture라고 한다. 이 효시가 되는 환난 전 휴거에 관한 교리는 1587년 미래주의 해석을 집필한 스페인 예수회Spanish Jesuit의 프란시스코 리베라Francisco Ribera,1537-1591에 의해서 도입되었다. 그리고 칠레 예수회Chilene Jesuit 마누엘 라쿤자Manuel Lacunza,1731-1801로 이어진다. 그는 예수님이 지상으로 다시 오시기 전에 교회가 휴거될 것이라는 이론을 체계화시켰다. 1827년에 그의 저서는 에드워드 어빙Edward Irving,1792–1834,스코틀랜드 급진주의자에 의해서 영어..